수차례의 삽질 끝에 끝내 해결;
라는 소스를 스크립트에 포함시키고, body 속에는
를 넣어준다. img의 사용에는, TT의 얄딱꾸리한(익숙치 않아서겠지만) 이미지 삽입하고, HTML수정에서
하는 식으로 추가로 입력하면 된다. 좀 더 작게 하려면 width와 height를 줄여주면 되고, 이미지주소2는 다른 이미지(더 큰 사이즈라든가)를 보여주고 싶을 때 입력하면 된다. 입력하지 않으면 ShowIMG(this); 만 넣어주면 알아서 같은 그림의 원래 크기로 보여주게 된다.
주의할것은(이것 때문에 몇시간을 삽질한건지!) 스킨 최상단에 있는 DOCTYPE 선언을,
<!DOCTYPE html PUBLIC "-//W3C//DTD XHTML 1.0 Transitional//EN" "http://www.w3.org/TR/xhtml1/DTD/xhtml1-transitional.dtd">
라고 입력되어있다면, 반드시 바꿔주어야한다.
내 경우,
<!DOCTYPE HTML PUBLIC "-//W3C//DTD HTML 4.0 Transitional//EN">
라고 사용중.
후훗. 기쁜 마음에 한번 더 테스트.

function ShowIMG(obj, par)
{
var div=document.getElementById('divIMG');
if (par==null)
{
var src=obj.src;
}
else
{
var src=par;
}
div.innerHTML='<img id="\"imgOriginalview\"" alt="" src="http://thera.innori.com/owner/entry/edit/%5C%22%27+src+%27%5C%22" black;cursor:pointer="" solid=""/>';
}
function HideIMG()
{
var div=document.getElementById('divIMG');
div.innerHTML='';
div.style.display='none';
}
function InitIMG(obj)
{
var div=document.getElementById('divIMG');
div.style.display='';
var w=obj.width;
var h=obj.height;
var h2=Math.round((document.body.clientHeight-h)/2);
var t=document.body.scrollTop;
var l=document.body.scrollLeft;
div.style.top=t;
div.style.left=l;
div.style.width=document.body.clientWidth;
div.style.height=document.body.clientHeight;
div.style.backgroundColor='#EEE'
div.style.paddingTop=h2;
}
{
var div=document.getElementById('divIMG');
if (par==null)
{
var src=obj.src;
}
else
{
var src=par;
}
div.innerHTML='<img id="\"imgOriginalview\"" alt="" src="http://thera.innori.com/owner/entry/edit/%5C%22%27+src+%27%5C%22" black;cursor:pointer="" solid=""/>';
}
function HideIMG()
{
var div=document.getElementById('divIMG');
div.innerHTML='';
div.style.display='none';
}
function InitIMG(obj)
{
var div=document.getElementById('divIMG');
div.style.display='';
var w=obj.width;
var h=obj.height;
var h2=Math.round((document.body.clientHeight-h)/2);
var t=document.body.scrollTop;
var l=document.body.scrollLeft;
div.style.top=t;
div.style.left=l;
div.style.width=document.body.clientWidth;
div.style.height=document.body.clientHeight;
div.style.backgroundColor='#EEE'
div.style.paddingTop=h2;
}
라는 소스를 스크립트에 포함시키고, body 속에는
<div id="divIMG" style="text-align:center; position:absolute; display:none; margin:0; padding:0; z-index:1;"></div>
를 넣어준다. img의 사용에는, TT의 얄딱꾸리한(익숙치 않아서겠지만) 이미지 삽입하고, HTML수정에서
[ ##_1C|1395663668.jpg|width="460" height="387" alt="" onclick="ShowIMG(this,'이미지주소2');" style="cursor:pointer;"|_## ]
하는 식으로 추가로 입력하면 된다. 좀 더 작게 하려면 width와 height를 줄여주면 되고, 이미지주소2는 다른 이미지(더 큰 사이즈라든가)를 보여주고 싶을 때 입력하면 된다. 입력하지 않으면 ShowIMG(this); 만 넣어주면 알아서 같은 그림의 원래 크기로 보여주게 된다.
주의할것은(이것 때문에 몇시간을 삽질한건지!) 스킨 최상단에 있는 DOCTYPE 선언을,
<!DOCTYPE html PUBLIC "-//W3C//DTD XHTML 1.0 Transitional//EN" "http://www.w3.org/TR/xhtml1/DTD/xhtml1-transitional.dtd">
라고 입력되어있다면, 반드시 바꿔주어야한다.
내 경우,
<!DOCTYPE HTML PUBLIC "-//W3C//DTD HTML 4.0 Transitional//EN">
라고 사용중.
후훗. 기쁜 마음에 한번 더 테스트.